본문 바로가기

예미넴의 서재

불안

반응형

_알랭 드 보통

 

인생은 하나의 불안을 다른 불안으로

하나의 욕망을 다른 욕망으로 대체하는 과정이다.

 

 

우리가 현재의 모습이 아닌 다른 모습일 수도 있다는 느낌

우리가 동등하다고 여기는 사람들이 우리보다 나은 모습을 보일 때 받는 그 느낌

이것이야말로 불안의 원천이다.

 

 

다른 사람들의 관심이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우리가 날 때부터 자신의 가치에 확신을 갖지 못하고 괴로워할 운명을 타고났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 결과 다른 사람이 우리를 바라보는 방식이 우리가 스스로를 바라보는 방식을 결정하게 된다.

 

 

실제적 궁핍은 급격하게 줄어들었지만, 역설적이게도 궁핍감과 궁핍에 대한 공포는 사라지지 않았고 외려 늘어나기까지 했다. 중세 유럽에서 변덕스러운 땅을 경작하던 조상은 도저히 상상도 하지 못할 부와 가능성의 축복을 받은 사람들이 놀랍게도 자신이 모자란 존재이고 자신의 소유도 충분치 못하다는 느낌에 시달리게 된 것이다.

 

 

"질투심을 일으키는 것은 우리와 다른 사람들 사이의 커다란 불균형이 아니라 오히려 근접 상태다.  일반 병사는 상사나 상병에게 느끼는 것과 비교하면 장군에게는 질투심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뛰어난 작가 역시 평범한 삼류작가보다는 자신에게 좀 더 접근한 작가들로부터 질투를 더 받는다. 불균형이 심하면 관계가 형성되지 않으며, 그 결과 우리에게서 먼 것과 우리 자신을 비교하지 않게 되거나 그런 비교의 결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우리가 동등하다고 여겨 우리 자신과 비교하는 사람이 늘어날수록 질투할 사람도 늘어난다.

 

 

불평등이 사회의 일반 법칙일 때는 아무리 불평등한 측면이라도 사람들 눈길을 끌지 못한다. 그러나 모든 것이 대체로 평등해지면 약간의 차이라도 눈에 띄고 만다. ... 그래서 풍요롭게 살아가는 민주사회의 구성원이 종종 묘한 우울증에 시달리고, 평온하고 느긋한 환경에서도 삶에 대한 혐오에 사로잡히는 것이다.

 

 

요구를 버리는 것은 그것을 충족시키는 것만큼이나 행복하고 마음 편한 일이다. 어떤 영역에서 자신이 아무것도 아니라는 사실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지면 마음이 묘하게 편해진다.

 

 

자신이 하찮은 존재라는 생각 때문에 느끼는 불안의 좋은 치유책은

세계라는 거대한 공간을 여행하는 것,

그것이 불가능하다면 예술작품을 통하여 세상을 여행하는 것이다.

 

 

불안은 욕망의 하녀다.

 

 

반응형

'예미넴의 서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뒤로 자빠지는 의자'를 사야 한다  (3) 2023.09.02
문제는 무기력이다  (1) 2023.08.21
눈부신 오늘  (0) 2023.07.31
화내지 않는 연습  (0) 2023.07.25
이어령 - 나에게 이야기 하기  (0) 2023.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