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돼지국밥

(2)
국밥 한그릇 저녁에 한 끼 나가서 먹고 왔다. 경기불황에 고물가에.. 외식은커녕 집밥도 부담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요즘.. 정말 어려운 사람들.. 취약계층과 부모와 떨어져 자취하는 곤궁한.. 학생들의 처지를 가끔 떠올려 본다. 나도 그런 시절을 지나왔기 때문이다. '따뜻한 밥 한끼.. 배부르게 먹을 수 있다면... 맛은 크게 신경 쓰지 않을 것 같다.' 구황작물.. 주로.. 고구마로 주린 배를 채우고 있는.. 내 처지나 신경써야하는.. 입장에서.. 굳이 타인을 걱정하고 안타까워.. 하고 있을 상황은 아닌 것 같다. *구황작물(救荒作物)은 가뭄이나 장마 같은 기후의 영향을 적게 받고 비교적 척박한 땅에서도 가꿀 수 있어, 흉년 등으로 기근이 심할 때 주식으로 대용할 수 있는 작물을 말한다. 비황작물(備荒作物)이라고도..
돼지국밥 Taste, 입맛은 변한다. ​ ..입맛이 변한건지 감정이 변한건지 가끔 헷갈릴 때가 있다. ​​ 다시 한입, 음식은 변하지 않았다. ​​ 이 가게는 10년 전에도 3년 전에도 같은 맛. 이었단 사실이 또렷하게 기억이 난다. ​​ 혓바닥은 감정 없이 정직하니까. 부산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돼지국밥, 밀면, 꼼장어가 떠오른다. 부산에 가면 들르는 돼지국밥집이 있다. 가끔 생각난다. 여기 국밥을 처음 먹으러 온게 2009년 무렵이었는데 지금껏 10번 정도 와서 먹은 것 같다. 2021년 여름을 마지막으로, 딱 2년만에 다시 찾았다. 2년 동안 몸이 많이 건강해진 탓일까. 입맛이 변했기 때문일까. 돼지국밥이 너무 짜고 MSG의 맛이 강하게 느껴졌다. 국밥은 변한 게 없이 그대로인데 내 입맛과 위장의 체질이 변한..

반응형